주식 완전 초보라면 꼭 알아야 할 용어 총정리 (기초편 + 중급편)
주식을 시작하려고 마음먹었는데, 용어부터 벽처럼 느껴지시나요?
"PER? ETF? 코스닥? 다우지수??" 처음 접하면 헷갈리는 게 당연해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왕초보를 위한 기초 용어부터,
조금 익숙해졌을 때 알아두면 좋은 중급 용어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저장해두고 두고두고 참고하세요!
📌 Part 1. 주식 완전 초보를 위한 기초 용어 15가지
1. 주식 (Stock)
→ 기업이 자금을 모으기 위해 발행한 소유권의 일부.
→ 주식을 산다는 건 그 회사의 주주, 즉 공동 주인이 되는 것!
2. 증권사
→ 주식을 사고팔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개 회사.
→ 예: 키움증권, 미래에셋, NH투자증권 등
3. 계좌 개설
→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사에서 주식 계좌를 만드는 것.
→ 요즘은 비대면으로 10분이면 끝!
4. 매수 / 매도
- 매수: 주식을 사는 것
- 매도: 주식을 파는 것
5. 주가
→ 주식 한 주의 가격.
→ 예: “삼성전자 주가가 오늘 75,000원이야.”
6. 호가창
→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매수·매도 가격표.
→ 주식의 거래 분위기를 보여주는 실시간 창.
7. PER (주가수익비율)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PER이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된 주식일 수 있어요.
(단, 성장주에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음)
8. 시가총액 (시총)
→ 기업의 전체 가치를 나타내는 수치.
→ 주가 x 총 발행 주식 수
9. 배당금
→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나눠주는 돈.
10. 상장 / 상장폐지
- 상장: 기업이 주식시장에 공식 등록되어 거래되는 것
- 상장폐지: 거래소에서 퇴출되는 것 (주의 필요!)
11.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 중심 시장
- 코스닥: 바이오, 콘텐츠, IT 등 성장주 중심 시장
12. ETF (상장지수펀드)
→ 여러 종목을 한 번에 담은 펀드형 주식.
→ 분산 투자에 유리하고, 초보자에게 인기 많아요.
예: KODEX 200, TIGER 미국나스닥100
13. 테마주
→ 특정 이슈나 산업과 관련해 주목받는 종목
→ 예: AI, 전기차, 반도체 관련주
14. 차트
→ 주식 가격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
(참고용으로만 보세요, 맹신 금지!)
15. 분산 투자
→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여러 종목에 나누어 투자하는 방식.
📌 Part 2. 투자 감각을 키우기 위한 중급 용어 12가지
1. 코스피 (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 한국 대표 대형주 중심의 시장.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포함.
2. 코스닥 (KOSDAQ)
→ 벤처·중소형 성장주 중심의 시장.
→ 변동성은 크지만 성장 가능성 높음.
3. 코넥스 (KONEX)
→ 스타트업, 초기 벤처기업 중심의 시장.
→ 일반 투자자보다는 전문 투자자용 시장.
4. 나스닥 (NASDAQ)
→ 미국의 기술주 중심 시장.
→ 애플, 아마존, 엔비디아 등 상장.
5. 다우지수 (Dow Jones)
→ 미국 전통 대기업 30개로 구성된 지수.
→ 코카콜라, 맥도날드 등 블루칩 대표 포함.
6. S&P 500 지수
→ 미국 대표 500개 기업의 지수.
→ 미국 전체 경제 흐름을 가장 잘 반영.
7. 블루칩 (Blue Chip)
→ 실적, 브랜드, 재무 모두 탄탄한 우량 대기업 주식.
→ 예: 삼성전자, 애플, 존슨앤드존슨 등.
8. 테마주 / 수혜주
→ 특정 정치/산업 이슈로 관심과 투자가 몰리는 종목
→ 예: 대선주, 수소차 관련주 등
※ 단기 급등 후 급락 가능성도 커요.
9. 변동성 (Volatility)
→ 주가의 흔들림 정도.
→ 변동성이 크면 리스크도 크지만, 수익 기회도 커요.
10. 공모주
→ 기업이 상장 전에 일반 투자자에게 주식을 나눠주는 것
→ 청약 경쟁률에 따라 당첨 여부가 갈립니다.
11. 유동성 (Liquidity)
→ 얼마나 쉽게 사고팔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거래량이 많을수록 유동성이 높아요.
12. 외인 · 기관 · 개인
→ 투자자 유형
- 외인: 외국인 투자자
- 기관: 연기금, 은행, 보험사 등
- 개인: 일반 개미 투자자 (우리들!)
✅ 마무리하며
처음엔 어렵게 느껴지던 용어들도 하나씩 익히다 보면
주식 뉴스가 훨씬 쉽게 들리고, 투자 판단에도 도움이 됩니다.
기초 개념부터 중급 용어까지 차근차근 익히면서
내 돈을 스스로 지킬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게 가장 중요해요.
저장해두고, 자주 읽고, 헷갈릴 때마다 꺼내보세요!
'Luna’s Picks 루나의 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고비(Wegovy)란? 기능, 활용법, 한눈에 정리 (4) | 2025.04.10 |
---|---|
전자책 구독 서비스 완벽 비교! 밀리의 서재 vs 리디셀렉트 vs 교보문고 sam.. (3) | 2025.04.09 |
반찬용 스테인레스, 아무거나 쓰면 안 돼요! 숫자별 용도와 체크리스트 (0) | 2025.04.07 |
[부동산 독학]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부동산 앱 활용법 (1) | 2025.04.04 |
[부동산 독학] 부동산 어플 추천 및 활용 방법 정리 (2)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