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rket Notes 시장 이야기

코스맥스 vs 한국콜마, K-뷰티 ODM 1위는 어디?

by LAM(Luna Across Markets) 2025. 4. 13.
반응형

한국콜마 vs 코스맥스: 2024년 화장품 ODM 실적 비교

한국의 대표적인 화장품 ODM(제조자 개발 생산) 기업한국콜마코스맥스는 2024년에도 각각 2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업계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두 기업은 유사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지만, 시장 전략과 지역별 성장 동력에서 차별화된 방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04.13 - [Luna’s Picks 루나의 픽] - [경제 독학] ODM? OEM? OBM 등 생산 관련 용어

 

[경제 독학] ODM? OEM? OBM 등 생산 관련 용어

ODM, OEM, OBM: 생산 관련 용어와 차이점현대의 제조업에서 ODM, OEM, OBM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들 각각의 용어는 제조 과정에서의 역할과 책임의 차이를 나타내며, 기업이 제품을 시장에 출시

lunaglobal.tistory.com

 

 

📊 2024년 실적 비교

항목 한국콜마 코스맥스
2024년 매출 2조 4,521억 원 (전년 대비 +14%) 2조 1,661억 원 (전년 대비 +21.9%)
영업이익 1,956억 원 (전년 대비 +43.6%) 1,754억 원 (전년 대비 +51.6%)
영업이익률 약 8.0% 약 8.1%
주요 성장 시장 미국 (매출 +55%, 영업이익 흑자 전환) 중국 (생산시설 가동률 상승, 실적 반등)
주요 제품군 선케어, 기능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맞춤형 화장품
글로벌 전략 북미 시장 집중 공략, 생산 CAPA 확대 인디 브랜드 맞춤 전략, 신흥국 'LOCO 프로젝트' 추진

🔍 한국콜마: 북미 시장 중심의 성장 전략

  • 미국 시장 성장: 2024년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974억 원, 영업이익은 60억 원으로 흑자 전환.
  • 생산 능력 확대: 국내 생산 CAPA를 2024년 5.3억 개 → 2025년 6.3억 개로 확장 예정.
  • 제품군 다양화: 선케어 국내 점유율 70%, 기능성 화장품·건강기능식품·의약품까지 포트폴리오 확장 중.

🔍 코스맥스: 인디 브랜드 & 신흥 시장 중심 전략

  • 중국 시장 반등: 생산시설 가동률 상승, 동남아 시장 기대감 높음.
  • 인디 브랜드 전략: 최소주문수량(MOQ) 낮추고 맞춤형 대응으로 경쟁력 강화.
  • 신흥시장 공략: 인도·중남미·아프리카 등 'LOCO 프로젝트' 통해 가성비 제품 확대.

🔮 시장 전망 및 전략 차별화

  • 한국콜마: 북미 중심의 수익성 확보, 기능성·의약·건강식품군 확대 전략 지속.
  • 코스맥스: 글로벌 인디 브랜드 협업 강화, 자동화 생산 도입으로 경쟁력 확보 중.

📊 연도별 실적 추이 (2021~2024)

1. 한국콜마

연도매출액 (억원)영업이익 (억원)영업이익률 (%)
2021 15,863 1,211 7.6
2022 18,657 1,569 8.4
2023 21,557 1,956 9.1
2024 24,521 1,956 8.0

 

출처: 한국콜마 IR 자료 ​

2. 코스맥스

연도매출액 (억원)영업이익 (억원)영업이익률 (%)
2021 17,770 1,377 7.8
2022 18,770 1,377 7.3
2023 21,661 1,754 8.1
2024 22,000 (예상) 1,700 (예상) 7.7 (예상)

출처: 코스맥스 IR 자료 및 하나증권 전망 ​

2025.04.13 - [Market Notes 시장 이야기] - 글로벌 시장을 사로잡은 한국 ODM 기업, 어디까지 왔나?

 

글로벌 시장을 사로잡은 한국 ODM 기업, 어디까지 왔나?

한국에서 유명한 글로벌 K-뷰티 브랜드와, 그 중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유명한 K-뷰티 브랜드이들은 국내뿐 아니라

lunaglobal.tistory.com

 

반응형

📈 시장 점유율 및 특징

한국콜마

  • ODM/OEM 시장 점유율: 약 40%
  • 제품 구성 비중 (2023년 기준):
    • 화장품: 52.75%
    • 제약: 34.09%​
    • 식품: 4.17%​
  • 수출 비중: 전체 매출의 약 10%​
  • 특징:
    • 선케어 제품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2023년 73%에서 2024년 80%로 확대​
    • 미국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로 북미 시장 공략 강화​

출처: 한국콜마 기업개요 ​

코스맥스

  • 제품 구성 비중 (2023년 기준):
    • 화장품: 100%​
  • 수출 비중: 전체 매출의 약 60%​
  • 특징:
    • 미국, 동남아시아, 중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로 분기 최대 매출 기록​
    • 인디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한 맞춤형 제품 개발로 경쟁력 강화​

출처: 코스맥스 기업개요 


 

한국 콜마의 글로벌 진출 전략변화는?

1. 현지화와 맞춤형 전략 강화

  • 한국콜마는 북미,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현지 소비자 요구에 맞춘 제품 개발과 현지화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지 고객사 확대를 위해 북미기술영업센터(미국 뉴저지)를 설립하고, 현지 인디 브랜드 및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 생산능력 및 첨단화 확대

  • 미국 펜실베이니아와 캐나다 등 해외 생산기지 확장에 이어, 국내 세종시에 AI 기반 스마트 공장을 신설해 생산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정 혁신으로 불량률을 대폭 줄이고, 연간 생산능력을 8억 개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3. 브랜드 및 상표권 전략

  • 2023년 미국콜마로부터 100년 역사의 ‘KOLMAR’ 글로벌 상표권을 인수해, 전 세계 주요 시장에서 ‘KOLMAR’ 브랜드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진출 시 상표권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4. 직수출 및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 현지 법인 및 생산기지 설립과 함께 직수출 비중을 늘려 글로벌 고객사와의 직접 거래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 전략은 매출 성장과 생산 효율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5.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 화장품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제약 등 다양한 사업 부문에서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계열사 HK이노엔의 신약 ‘케이캡’은 2028년까지 100개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부문도 유럽·중국 등에서 현지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6. 신시장 개척

  • 동남아, 중동 등 신흥시장 진출을 위해 싱가포르, 중동 등지에 법인 및 거점기지 설립을 추진하며, 국제 협약을 통해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수출 기반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국콜마는 현지화, 첨단화, 브랜드 파워, 직수출, 사업 다각화, 신시장 개척 등 다방면에서 전략을 고도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빠르게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콜마의 K뷰티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받은 반응은?
  •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기와 성장
    한국콜마가 제조한 K뷰티 브랜드들은 아마존 등 세계 최대 e커머스 플랫폼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아마존 글로벌 스토어에서 K뷰티 제품 판매량이 75% 이상 증가했으며, 한국콜마도 인디 브랜드 중심으로 253곳과 신규 계약을 체결해 전년 대비 48.7% 성장하는 등 K뷰티 열풍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 혁신 기술과 브랜드 가치 인정
    한국콜마는 AI 기반 맞춤형 스킨케어 솔루션 ‘카이옴’ 등 혁신 기술을 앞세워 이탈리아 코스모팩 어워드에서 혁신기술과 지속가능성 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 기술력과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뢰도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
    미국 시장에서 K뷰티의 점유율이 22%로 프랑스, 캐나다를 제치고 1위를 기록하는 등 한국콜마가 ODM을 통해 공급하는 K뷰티 브랜드들이 세계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 중소·인디 브랜드와의 동반 성장
    한국콜마는 중소·인디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신규 브랜드를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시키며, K뷰티 시장의 저변 확대와 수출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아마존과의 협업 등 글로벌 유통 네트워크를 확대해 K뷰티의 혁신성과 가치를 전 세계에 전파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사와 동반성장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요약:
한국콜마의 K뷰티 브랜드는 혁신 기술, 글로벌 유통망, 중소 브랜드와의 협업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인기와 신뢰를 얻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시장 점유율과 브랜드 가치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