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콜마 vs 코스맥스: 2024년 화장품 ODM 실적 비교
한국의 대표적인 화장품 ODM(제조자 개발 생산) 기업인 한국콜마와 코스맥스는 2024년에도 각각 2조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업계 선두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두 기업은 유사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지만, 시장 전략과 지역별 성장 동력에서 차별화된 방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04.13 - [Luna’s Picks 루나의 픽] - [경제 독학] ODM? OEM? OBM 등 생산 관련 용어
[경제 독학] ODM? OEM? OBM 등 생산 관련 용어
ODM, OEM, OBM: 생산 관련 용어와 차이점현대의 제조업에서 ODM, OEM, OBM은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들 각각의 용어는 제조 과정에서의 역할과 책임의 차이를 나타내며, 기업이 제품을 시장에 출시
lunaglobal.tistory.com
📊 2024년 실적 비교
항목 | 한국콜마 | 코스맥스 |
---|---|---|
2024년 매출 | 2조 4,521억 원 (전년 대비 +14%) | 2조 1,661억 원 (전년 대비 +21.9%) |
영업이익 | 1,956억 원 (전년 대비 +43.6%) | 1,754억 원 (전년 대비 +51.6%) |
영업이익률 | 약 8.0% | 약 8.1% |
주요 성장 시장 | 미국 (매출 +55%, 영업이익 흑자 전환) | 중국 (생산시설 가동률 상승, 실적 반등) |
주요 제품군 | 선케어, 기능성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맞춤형 화장품 |
글로벌 전략 | 북미 시장 집중 공략, 생산 CAPA 확대 | 인디 브랜드 맞춤 전략, 신흥국 'LOCO 프로젝트' 추진 |
🔍 한국콜마: 북미 시장 중심의 성장 전략
- 미국 시장 성장: 2024년 미국 매출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974억 원, 영업이익은 60억 원으로 흑자 전환.
- 생산 능력 확대: 국내 생산 CAPA를 2024년 5.3억 개 → 2025년 6.3억 개로 확장 예정.
- 제품군 다양화: 선케어 국내 점유율 70%, 기능성 화장품·건강기능식품·의약품까지 포트폴리오 확장 중.
🔍 코스맥스: 인디 브랜드 & 신흥 시장 중심 전략
- 중국 시장 반등: 생산시설 가동률 상승, 동남아 시장 기대감 높음.
- 인디 브랜드 전략: 최소주문수량(MOQ) 낮추고 맞춤형 대응으로 경쟁력 강화.
- 신흥시장 공략: 인도·중남미·아프리카 등 'LOCO 프로젝트' 통해 가성비 제품 확대.
🔮 시장 전망 및 전략 차별화
- 한국콜마: 북미 중심의 수익성 확보, 기능성·의약·건강식품군 확대 전략 지속.
- 코스맥스: 글로벌 인디 브랜드 협업 강화, 자동화 생산 도입으로 경쟁력 확보 중.
📊 연도별 실적 추이 (2021~2024)
1. 한국콜마
연도매출액 (억원)영업이익 (억원)영업이익률 (%)
2021 | 15,863 | 1,211 | 7.6 |
2022 | 18,657 | 1,569 | 8.4 |
2023 | 21,557 | 1,956 | 9.1 |
2024 | 24,521 | 1,956 | 8.0 |
출처: 한국콜마 IR 자료
2. 코스맥스
연도매출액 (억원)영업이익 (억원)영업이익률 (%)
2021 | 17,770 | 1,377 | 7.8 |
2022 | 18,770 | 1,377 | 7.3 |
2023 | 21,661 | 1,754 | 8.1 |
2024 | 22,000 (예상) | 1,700 (예상) | 7.7 (예상) |
출처: 코스맥스 IR 자료 및 하나증권 전망
2025.04.13 - [Market Notes 시장 이야기] - 글로벌 시장을 사로잡은 한국 ODM 기업, 어디까지 왔나?
글로벌 시장을 사로잡은 한국 ODM 기업, 어디까지 왔나?
한국에서 유명한 글로벌 K-뷰티 브랜드와, 그 중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는 기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유명한 K-뷰티 브랜드이들은 국내뿐 아니라
lunaglobal.tistory.com
반응형
📈 시장 점유율 및 특징
한국콜마
- ODM/OEM 시장 점유율: 약 40%
- 제품 구성 비중 (2023년 기준):
- 화장품: 52.75%
- 제약: 34.09%
- 식품: 4.17%
- 수출 비중: 전체 매출의 약 10%
- 특징:
- 선케어 제품의 국내 시장 점유율이 2023년 73%에서 2024년 80%로 확대
- 미국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로 북미 시장 공략 강화
출처: 한국콜마 기업개요
코스맥스
- 제품 구성 비중 (2023년 기준):
- 화장품: 100%
- 수출 비중: 전체 매출의 약 60%
- 특징:
- 미국, 동남아시아, 중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의 매출 증가로 분기 최대 매출 기록
- 인디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한 맞춤형 제품 개발로 경쟁력 강화
출처: 코스맥스 기업개요
반응형
'Market Notes 시장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시장을 사로잡은 한국 ODM 기업, 어디까지 왔나? (1) | 2025.04.13 |
---|---|
[경제 독학] 복잡한 ‘관세’, 제대로 알자: 관세 용어 정리,계산 방식, 국제 정세 (0) | 2025.04.10 |
[경제 독학] 초등학생 은행 계좌 개설 방법 가이드 (2) | 2025.04.04 |
[국제 경제] 미국의 반도체 관세 도입, 글로벌, 삼성의 영향은? (0) | 2025.04.04 |
[경제 독학] 초등학생에게 추천하는 주식 종목, 무엇이 좋을까? (5) | 2025.04.03 |